책읽기

이제는 아버지가 나서야 한다.

knightno 2017. 12. 6. 13:06

교육학 교수가 돈자랑, 자식 자랑 해 놓은 책 같습니다.

일반인들은 감히 범접하기 힘든 자랑들에 스스로 무너져 내리려는 마음을 다잡고 천천히 읽어 봅니다.

그래도 배워야할 무언가는 있겠지요.

정신을 차리고, 부러움을 뒤로 하고...

천천히 ... 

148~149

초등학교 교육의 7계명

 

1. 초등학교 시기의 놀라운 기억력을 이용하라.

인간의 기억력은 초등학교 3~5학년을 정점으로 하여 중학교 이후부터는 쇠퇴한다.

초등학교 시기는 인간의 기억력이 가장 왕성한 시기다.

특히 이때에 영어와 한문 등과 같이 기억력을 필요로하는 과목을 집중적으로 가르쳐라.

 

2. 영어는 초등학교 2, 3학년 부터 시작하라.

문법은 절대로 가르치지 말고 처음부터 문장을 통째로 외우게 하라.

다음은 영어책을 많이 읽어 다양한 문장을 접하게 하고 단어를 많이 외우게 하라.

좋아하는 책 한 권을 선택해 책장이 떨어질 때 까지 여러번 읽게 하라.

 그러면 영작이 가능해지고 영어가 몸에 배게 된다.

 

3.아이의 흥미와 관심을 넓혀 주기 위해 많이 읽게 하라.

다양한 분야의 책을 많이 일게 하되 건성으로 읽지 말고 책에 빠지게 하라.

단편적인 지식이 중요한 게 아니라 책의 정신이 중요하다.

책은 감동적으로 읽지 않으면 곧 기억에서 사라진다.

독서가 습관이 되면 정보처리 능력이 발달한다.

글의 요점을 빨리 파악하고, 그 내용을 머릿속에 정리할 수 있는 능력이 길러진다.

그것이 곧 공부를 잘하는 방법이다.

가족과 함께 책을 일고 대화하는 시간을 가져라.

말하고 듣는 훈련도 어려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4.초등학교 4, 5학년 단계에서 한문을 가르쳐라.

한자를 가르치지 말고 한문을 가르쳐라.

한문을 외워서 쓰게 하라.

한문도 문법 중심으로 가르치면 안된다.

한문 공부는 조어 능력을 높여주고 고등학교 한자 공부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중국어와 일본어 교육의 기초가 된다.

이제 중국어와 일본어는 영어보다 더 중요한 외국어가 되었다.

 

5. 수학일찍 시작하라.

초등학교 단계부터 관심을 갖고 본격적으로 공부를 시작하고, 아이의 발달이 빠르다면 교과서를 마치는 것으로 만족하지 말고 속진하라.

평범한 아이들의 수준에 맞추지 말고 진도를 빨리 나가라.

수학도 어려서부터 공부해야 몸에 익는다.

 

6. 초등학교에서 음악미술은 특기교육이 아니라 필수 과목이다.

음악과 미술에 대한 이해 없이는 창의성을 발휘할 수 없다.

그리고 음악과 미술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은 사람을 사랑할 줄 모른다.

음악회와 미술관을 부지런히 다녀라.

아인슈타인, 히이젠베르크, 파스퇴르는 모두 음악과 미술을 통해 과학적 영감을 얻었다.

 

7. 아이는 부모의 행동이나 생각을 그대로 닮는다.

부자유친은 아이가 훌륭하게 자라는 밑거름이 된다.

아이를 잘 키우는 부모의 조건을 잊지 말라. 

 

151

초등학교 추천도서

철학- [명심보감], [논어], [맹자]등

역사- 나관중의 [삼국지], 김동성의 [열국지], [인간 세계사 전집] 등

문학- [이솝우화], 돌킨의 [The Return of the King], [수호지], [초한지],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 등

정치-에이브러햄 링컨의 [서한집]등

경제- 이원복의 [자본주의 공산주의]등

사회- 이원복의 [먼나라 이웃나라] 등

과학= 마틴 가드너의 [아하! 바로 그거야], 김용운의 [재미있는 수학 여행] 등

 

181-183

중학교 교육의 7계명

 

1. 중학교 시기는 기본 교과를 충실히 학습하게 하라.

소위 도구 교과인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사회 등을 피나게 공부해야 한다.

이때에 기초를 충실히 다지지 못하면 고등학교에 가서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없다.

공부 잘하는 중학생들의 한결같은 공통점은 많은 노력을 한다는 것이다.

즉, 중학교 시기는 기본 교과를 중심으로 부지런히 공부하는 시기다.

 

2. 영어로 책을 읽고 글을 쓰는 훈련을 시켜라.

학교에서 하는 문법이나 시험 위주의 영어에서 벗어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영어로 된 재미있는 책을 구해 부지런히 일게 하라.

그리고 간단한 일기를 영어로 써 보게 하라.

영어를 처음부터 문법 위주로 배우지 않고 외워서 공부했다면 영어로 글을 쓰는 것도 가능하다.

 

3. 수학은 경쟁을 시켜라.

경쟁을 통하여 더 높은 단계로 발전할 수 있게 하라.

교과서를 푸는 것만으로는 절대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없다.

 

4. 과학자들의 자서전이나 저서를 중심으로 과학 공부를 시켜라.

과학자들의 자서전을 읽고 과학의 세계에 깊이 접근하게 하라.

교과서에 나오는 공식만 외우는 것으로는 과학을 이해할 수 없다.

 

5. 사회현상이나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심어 주어라.

가족과 같이 현실 문제에 대해서 토론하고 대화하는 습관을 키워 주어라.

 

6. 대중 문화에 대한 접근ㅇ르 무조건 막지 말라.

다만 클래식 음악과 대중음악을 같이 듣게 지도하라.

그리고 스스로 절제하는 금도를 갖게 하라.

 

7. 중학교에서 제2외국어를 가르쳐라.

일본어나 중국어 중 하나를 선택하라.

이제 제2외국어는 영어와 함께 필수 과목이 되었다.

 

중학교 추천도서..

 

철학 - 볼테르의 [영국인에 관한 서한], [장자].

역사 - 기번의 [로마제국 흥망사], 사마천의 [사기열전] 

문학 - 호머의 [일리아드], [오딧세이]

정치 - 로버트 라이시의 [The work of Nations.]

경제 -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헤일브드너의 [ The Worldly Philosopher], 새뮤엘슨의 [Macro Economics],

         존 케인스의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the Peace],[Essayes in Persuation],

         레스터소로의  [Zero-Sum Society], [Head to Head]

         밀턴 프리드먼의 [Capitalism and Freedom].

사회 -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페리의 [Western Civilization], 에드윈 라이샤워의 [The Japanese Today].

과학 - 스티븐 호킹의 [시간의 역사],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

         

 

'책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엄마반성문 - 이유남  (0) 2017.12.14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0) 2017.07.06
상위 0.1% 영어 교육법  (0) 2017.02.14
독서는 절대 나를 배신하지 않는다.  (0) 2016.11.12
초등공부력의 비밀  (0) 2016.11.03